rog ally win10 설치하기

  1. 초기 OS (클라우드 리커버리 상태) 준비
  2. 드라이버 백업
    DISM /online /export-driver /destination:D:\Drivers
  3. gimagex 으로 win10 이미지 apply
  4. dism 으로 설치 경로에 드라이버 추가
    dism /Image:E: /Add-Driver /Driver:D:\Drivers /Recurse

그냥 win10 설치해서 Window Update 나 MyAsus, Armory crate 같은거로 드라이버 설치하려고 하면 안잡힘.


참고

https://www.thewindowsclub.com/export-drivers-using-dism-in-windows

https://www.tenforums.com/tutorials/95008-dism-add-remove-drivers-offline-image.html

SVP + 4K + AI rescale

  1. SVP 설치
  2. VideoEncoder 설치
    https://github.com/emoose/VideoRenderer
  3. MPC-HC 에서 View > Options > Playback > Output 렌더러를 MPC Video Renderer 으로 선택
  4. SVP maintenance 에서 TensorRT engine 설치
  5. SVP > 메뉴 > 유틸리티에서 “Set environment variables for Vapoursynth” (혹은 VLC 설정) 선택
  6. MPC-HC, View -> Options -> External filters, uncheck “Avisynth Filter”, add “Vapoursynth Filter”, check it and set to “Prefer”
  7. 프로필 설정. Processing of scene changes 의 “Blend adjacent frames” 와 Duplicate frames removeal 의 “remove every other frames” 를 같이 선택하면 동작하지 않으므로 둘 중 하나만 선택

참고

https://github.com/emoose/VideoRenderer/releases/tag/rtx-hdr-1.2

https://www.svp-team.com/wiki/RIFE_AI_interpolation

rog ally 초기설정 및 복구

초기설정

  1. 초기 셋업시 인터넷 연결 해제하고 shift+enter oobe\bypassnro 해서 MS 로그인 강제하는 것 패스하기
  2. 위젯 지우기 powershell 에 아래 입력
    winget uninstall "Windows web experience Pack"
  3. windows update 및 update medic 서비스 실행 방지하기
    서비스 dll 실행 방지
    %windir%\system32\wuaueng.dll
    C:\Windows\System32\wuaueng.dll
    
    실행 권한 -> SYSTEM -> 읽기 및 실행 거부
    소유권 가져오기 필요
    
    서비스 비활성화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wuauserv
    Start(DWORD) -> 4(disabled) 로 변경
    키(wuauserv) 사용 권한-> SYSTEM -> 모든 권한 거부
    
    "메딕" 서비스 비활성화
    system32\WaaSMedicSvc.dll
    WaaSMedicAgent.exe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WaaSMedicSvc
    반복
    
  4. update 비활성화 후 인터넷 연결
  5. 그룹 정책 복원

    FOR %F IN (“%SystemRoot%\servicing\Packages\Microsoft-Windows-GroupPolicy-ClientTools-Package~*.mum”) DO (DISM /Online /NoRestart /Add-Package:”%F”)
    FOR %F IN (“%SystemRoot%\servicing\Packages\Microsoft-Windows-GroupPolicy-ClientExtensions-Package~*.mum”) DO (DISM /Online /NoRestart /Add-Package:”%F”)

  6. 그룹 정책에서 “Allow edge swipe” disable 하기

    Computer Configuration\Administrative Templates\Windows Components\Edge UI

    레지스트리 수정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PolicyManager\default\LockDown\AllowEdgeSwipe]
    "value"=dword:00000000
    
    [HKEY_CURRENT_USER\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EdgeUI]
    "AllowEdgeSwipe"=-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EdgeUI]
    "AllowEdgeSwipe"=dword:00000000

복구

  1. 복구 시 전원버튼+볼륨 down 키로 진입
  2. 클라우드 리커버리 사용시 “서버 인증 실패” 메시지시 게스트 네트워크 또는 테더링 사용하기

https://www.elevenforum.com/t/what-is-oobe-bypassnro.5011/

https://www.technewstoday.com/windows-update-medic-service/

https://www.elevenforum.com/t/enable-or-disable-screen-edge-swipe-in-windows-11.3717/

https://www.elevenforum.com/t/uninstall-and-reinstall-widgets-in-windows-11.13723/

https://rog.asus.com/articles/guides/how-to-upgrade-the-ssd-and-reinstall-windows-on-your-rog-ally/

Cloud Recovery “Server Authentication Failed”
byu/hu_blah inROGAlly

AIMP 에서 youtube 재생하기

Youtube plugin for AIMP
https://www.aimp.ru/forum/index.php?topic=50071.0

  1. 플러그인 설치
  2. youtube-dl fork 를 다운로드
    https://github.com/yt-dlp/yt-dlp/releases/
  3. 플러그인 설치 폴더의 “youtube-dl.exe” 를 다운로드한 “yt-dlp.exe” 으로 덮어쓰기
  4. 이후 플러그인 설정 페이지에서 로그인
  5. “Add Items menu” 에서 Youtube url 추가. 오른쪽 컨텍스트 메뉴에서는 안 나온다.(스킨 문제?)
  6. 추가 시 “create new playlist” 체크. yt-dlp 로 덮어쓰기한 상태에서 체크를 해제하면 각 트랙별로 서브그룹이 생긴다.

Download parameter

; format=best, sort=best protocol first
YouTubeDLParams=-f "b" -S "proto"

wt-dlp 프로젝트 문서에 따르면 wv+ba(worst video, best audio) 조합이 더 좋아보이지만 이것은 각각의 스트림을 다운로드 한 후 ffmpeg 을 이용하여 두 파일을 합치는 것이라서 작동하지 않을 듯하다. 왜냐하면 이 플러그인은 youtube-dl 이 media stream url 을 추출하면 그것을 스트림하는 형태인 듯한데, multi-stream(video 와 audio 가 별도로 나오는) 지원은 못하는 것 같기 때문이다.

이미지 원본으로 대체하기

$("a > img").attr("src", function() {
return $(this).parent("a").attr("href")
});

a 밑에 img 태그가 있는 경우, img.src 을 a.href 으로 대체한다.

jQuery 을 필요로 하지만 대부분의 사이트에는 있으니 괜찮을듯.

https://api.jquery.com/attr/#attr-attributeName-function

https://api.jquery.com/parent/

arca jpg 타입으로 링크 걸렸을 때 원본으로 바꾸기

$("a > img").attr("src", function() {
// return $(this).parent("a").attr("href")
var ref= $(this).parent("a").attr("href");
var orig = ref.replace("?type=jpg", "?type=orig");
return orig;
});

플레이 스토어에서 지역 제한된 앱(아즈렌)의 인앱결제 가이드

플레이 스토어에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은 2가지다.

  1. 해당 계정이 결제하려는 앱을 소유하고 있다.
    플레이 스토어에서 해당 앱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되지 않은 앱” 에 노출되어야 한다. 혹은 웹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https://play.google.com/apps
  2. 결제하려는 앱을 플레이 스토어에서 설치했다.
    업데이트는 상관 없지만 최초 설치는 플레이 스토어에서 해야 한다.

이 조건은 충분조건이어서 모두 만족하지 않아도 결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쓰면 추상적이니 구체적인 가이드로 알아보자.

  1. 새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VM 을 만든다.
    기존에 쓰던 에뮬레이터가 있다면 새 VM 을 만들고 없다면 아무거나 설치하자. 추천은 Bluestacks.
  2. VPN 을 설정할 국가로 연결한다. *1
  3. 설정을 열고 위치 설정을 끈다.
  4. 새 구글 계정을 만든다.
  5. 계정 설정에서 생성한 계정의 언어를 사용하려는 국가의 것으로 변경한다. *2
  6. 에뮬레이터에서 로그인한다.
  7. 결제하려는 앱을 플레이 스토어에서 연다.
    플레이 스토어에서 검색하는 것보다는 링크를 쓰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아즈렌의 경우는 market://details?id=com.YoStarJP.AzurLane 이다. 이러한 링크는 보통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할 수 있다.
  8. google pay 페이지를 열고 결제 수단을 추가한다. 이 때, 결제 주소는 해당 앱의 지역(국가)나 미국으로 선택한다.
    현재 페이지 주소는 https://pay.google.com/gp/w/u/0/home/paymentmethods 이지만 자주 바뀐다.
  9. 이제 앱을 실행하고 결제를 시도한다. 계정 비밀번호를 물어보는 팝업이 뜨면 성공이다.
  10. 만일 여전히 “이 아이템은 해당 국가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메시지가 표시된다면, 플레이 스토어 앱을 열
    1. 설정-일반-계정 및 기기 환경설정으로 들어간다.
    2. 국가 및 프로필에서 “일본(대상 국가) 스토어로 변경하기” 등의 버튼이 표시되는지 확인하고 표시되면 클릭한다.
    3. 스토어 국가를 변경하면 스토어 앱이 재시작된다. 재시작 후 다시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앱이 인식하는 국가와 스토어 국가가 일치하므로) 스토어 변경하기 버튼이 사라진다.

*1: VPN 은 새 계정의 경우는 여전히 필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기존 계정이나 혹은 실수로 스토어 국가 설정이 되어버린 경우는 스토어 국가 변경이 필요하므로 연결이 필요할 것 같다.

*2: 역시 불필요한 단계인 것 같은데 검증은 하지 않았으므로 남겨둔다.

참고:

  • 기존 계정이 다른 국가에서 결제한 내역이 없거나 유료 컨텐츠(영화 등)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면 사용할 수 있다.
  • 기존 VM의 경우 로그인되어 있는 Google 계정을 로그아웃하고 기존 앱을 지우면 사용할 수 있다.
  • 결제 주소는 Google Play 의 경우 지역제한에는 영향이 없는 것 같고, 대신 세금(특히 VAT)에 영향을 끼친다. 이젠 영향이 없는 듯. 미국으로 해도 동일한 가격이 청구된다. Play point 도 적립되는 것으로 보아 사용자의 국가가 아니라 앱이 등록된 마켓 기준으로 세금이 정해지는 듯하다.
  • 에뮬레이터가 아닌 실제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앱 설치 단계에서 “사용자의 지역에서 앱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실패한다. 아무래도 SIM 이 있는 경우 SIM 의 carrier 에 기반한 지역제한이 적용되는 것 같다. 그렇다면 SIM이 없는 공기계는 어떨까 싶은데 확인해보지는 않았다. SIM 문제가 아니고 설정에서 “위치” 를 켰는지 여부이었던 듯하다. 이전 에뮬레이터는 초기 설정에서 위치 권한을 설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껐는데 요즘 버전은 이것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있어서 에뮬레이터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생했던 것 같다.

2022-05-31

변경사항:

  • 에뮬레이터에서도 변경이 안 되는 원인 파악(위치 설정)
  • 스토어 국가 변경내용 추가.

Visual studio “탐색” 기능

Eclipse 의 search type 과 비슷한 기능. 검색어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클래스/필드/메서드 중 부분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편집-탐색 에 있으며 기본 단축키는 “Ctrl+,” 이다

다만 visual studio 의 기능을 검색해주지는 않는다. 이것은 확장 중 “productivity power tools” 에 포함된 “Quick Access” 뷰에서 사용할 수 있다.

visual studio 을 10년 넘게 썼지만 이런 기능이 있는 줄 몰랐다는 것이 충격이고, 이런 기능이 있다는  팁을 본 적도 없는 것이 두 번 충격이다.

데이터 삭제를 해도 리세마라가 안될 때

아마 referal ID 으로 식별을 하는 것 같다. 따라서 구글 설정에서 광고 ID 재설정(reset) 을 하면 리셋이 된다.

그러므로 관련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면 막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어떻게 막아야 할 지 잘 모르겠다…

참고: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llusionconnect&no=8576

 

GPT 디스크에 windows 7 설치

GPT 디스크에 windows 7 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efi 부트로더로 부팅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설치 디스크를 EFI 지원되게 만들었더라도, 설치 디스크를 bios(MBR) 으로 부팅한 경우에는 efi 부트로더를 설치할 수 없고(bcdboot) 윈도우도 설치할 수 없다.

당연한 소리같지만, 보통 bios 설정에서 CSM 지원을 활성하는 경우 uefi 와 bios 중 어떤 것을 먼저 시도할 것인지 설정하게 되는데 보통 이 경우 bios first (또는 별다른 옵션 없이 bios 으로 고정) 가 선택되고 이렇게 되면 위의 시나리오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UEFI only 나 uefi first 을 선택하여 부팅 후 설치를 진행한다. windows 7 의 시작에는 CSM 이 필요하긴 하지만 설치 까지는 UEFI only 이어도 아마 가능할 것이다.

또한 efi 지원 설치 디스크를 작성할 때에는 rufs(https://rufus.ie/) 을 사용한다. 근데 그냥 FAT32 로 포맷하고 설치 디스크만 복사해도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