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터너티브 걸즈 풀스크린 및 모니터 패치

alterna_pc_display_patch

이름을 hack 이라고 할까 patch 라고 할까 좀 고민했다. 사실 내용상 hack 이 맞지 않나 싶은데 용도 측면에서 이런 경우에 보통 patch 라고 하는 것 같아서 patch 로 정함.

alterna_girls_fullscreen.reg 파일과 alterna_girls_monitor.reg 파일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 Screenmanager Is Fullscreen mode_h3981298716 값(1=fullscreen, 0=window)과 UnitySelectMonitor_h17969598(monitor index, starting from 0) 값을 수정한다.

 

실제로 적용해 보니까 모니터 설정과 풀스크린과 관련해서 좀 이슈가 있어서 아직 UI에서 지원하지 않는 것 같다.
내가 기대하기로는 게임의 렌더링 해상도의 경우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위치한 모니터를 따라서 정해야 할 것 같은데 실제 동작은 타이틀 화면 로딩시 마우스 커서가 위치한 모니터를 기준으로 한다.

나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내 환경은 첫번째 모니터는 가로에 1920*1080 이고 두번째 모니터는 세로에 1200*1920 이다.
이 때 UnitySelectMonitor_h17969598=1 로 설정하면 두 번째 모니터에서 게임이 실행되지만, 만약 타이틀 화면이 로딩되는 시점에서 마우스 커서가 첫 번째 모니터에 있으면 이 모니터를 기준으로 렌더링 해상도를 계산하게 된다. 설정에 따라 다르지만 해상도 “고”의 경우 높이가 900정도였던 것 같다.
만일 풀스크린을 제대로 활용하고 싶다면 마우스 커서도 두번째 모니터에 둔 채로 놔두어야 하며 이렇게 하면 해상도 “고”에서 높이가 약 1700정도로 설정되게 된다.

그 밖에도 풀스크린으로 설정하면 게임 내의 UI에서는 종료 버튼이 없기 때문에 자잘한 불편함도 있는데 이건 단순히 아직 풀스크린을 정식으로 지원하지 않아서 안 만들었을 뿐인 것 같다.

 

아리무라 시온과 함께

얼터너티브 걸즈 PC판의 풀스크린 패치을 이용해서 만들어본 영상.

바탕화면 보기(desktop peek)을 클릭한 직후에만 사용가능하므로 실제로 바탕화면으로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풀스크린 기능에 대한 데모로는 좋겠다 싶어서 만들어보았다.

 

실제로 바탕화면으로 사용하려면 plays.tv 나 shadowplay 등의 앱으로 녹화한 뒤 wallpaper engine 을 이용해서 video wallpaper 를 만드는 것이 더 나을 것 같다.

why your “TestResults” is empty, which generated with ms-test

f**k M$ 2012+ releases.

go back to your legacy of golden age, VS2010.

It will really DO m@gic.

 

+++

well, there are tons of missing functions/contents in M$ products which have released since 2012. i.e. Start menu, tablet input panel, awesome localizations, etc.

and this is the one of them.

untill VS2010, it generated some meta files like .testsettings and honored.

in the contrast, VS2012+ does nothing but just makes “MacGuffin” (or dummy) test results folder which fools programmers who hopes to find some useful test informations.

 

 

azure 에서의 wordpress 설치에 관한 이야기

대충 wordpress.com 에서 azure web app 으로 옮겨온지 한달 정도 되는 것 같다.

wordpress.com 에서 옮겨온 이유는

  1. .com 특유의 괴상한 에디터 (느리고 기능은 부족한)
  2. 카테고리 대량 편집이 안됨

때문이었다.

그래서 옮겼는데… 두 가지 정도 문제가 있다.

  1. 한글 파일 업로드가 안된다.
    가급적이면 한글로 된 파일도 영어로(ascii)로 바꿔서 올리기 마당에 크게 문제인가 싶기도 하지만 역시 캡처 도구로 저장한 파일을 올렸다가 깨진 미디어 파일만 생겨서 삭제하고 다시 이름을 바꿔서 올려야 하는건 생각외로 짜증나는 일이다.
  2. 초기 로딩이 오래 걸린다.
    처음엔 azure web app 이 다 이런 줄 알았는데 리버스 프록시 등은 이렇게 오래 안 걸리는 걸 보니 이건 아마 in-app mysql 의 로딩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 후술하겠지만 로딩이 완료되고 난 후의 성능은 가장 좋고 web app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 설정 등이 따로 필요 없다는 점도 좋은데 역시 초기 로딩이 너무 오래 걸린다. 한 10초 걸리는 줄 알았더니 재 보니까 30초나 걸리더라..

1. 같은 경우는 플러그인으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사실 굳이 고쳐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지만 2. 같은 경우는 아무래도 어떻게 좀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 싶어서 다시 옮길 생각을 하고 여러 조합을 검토해보았다.

일단 셀프 호스팅은 보류. 이미 한번 시도해봤다가 관리 안하고 그냥 폐기된 적이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같은 꼴을 볼 것이 뻔하므로 패스하기로 했다.

 

첫 번째 대상은 azure 에서 기존부터 서비스하던 cleardb. 처음에는 관리 콘솔에 접속하는데 가입을 요구하기에 그냥 지나쳤는데 이전을 검토하면서 속도를 검토해보니 in-app mysql 보다 훨씬 느려서 안 쓰기로 했다. 성능 분석을 해보니 in-app 의 경우는 2-3 초 걸리는데 이건 7초 이상 걸려서 안 쓰기로.

두 번째 대상은 project nami. wordpress 를 mysql 대신 mssql 과 함께 쓸 수 있도록 하는 포팅 버전이다. 일단 배포 자체가 오류가 많아서 설치하는 데 엄청나게 고생했는데… 결과적으로 encoding 문제가 심해서 그만두기로 했다. ProjectNami.UTF8 옵션을 써도 실제로 utf8 로 작동하는게 아니라 sql server의 인코딩으로 변환해서 쓰는 것 같다. 내가 테스트했던 경우 Korean_Wansung_CI_AS 을 썼었는데 ー와 같은 장음 표시가 ?와 같이 표시되는 등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겪는 인코딩 문제를 그대로 겪고 있었다.

 

그래서 아무튼 현재는 현상 유지로 방침을 굳혔는데… 음… 그래도 초기 로딩 문제는 어떻게 좀 하고 싶은데 말이지.


2017-03-14 update:

hello cloud 2017 2nd challange 가 in-app mysql 을 사용하는 예제인 거 같은데 이거 업데이트하면서 초기 기동시 30초 걸리는 문제를 해결한 듯. 현재는 이러한 문제가 없다. 덕분에 난 아무것도 하지 않았지만 문제가 해결됐다.


2017-03-15 update:

현재 다시 로딩하는 데에 30초 정도 걸린다. 나 참…

워드프레스에 일부 파일 업로드가 불가능한 문제

file type filter 를 추가해도 여전히 “file type is not permitted for security reasons” 에러가 나길래 짜증이 좀 났는데,

결론은 wordpress 3.7.1 버전의 버그라고 한다. (3.7.2 포함)

extra file types 플러그인에 file extension 만 체크하는 옵션을 체크하면 mime 체크가 비활성화 되는 줄 알았더니 버그 때문에 생긴 문제라 그런지 안된 모양이다.

해결책은 버그가 수정될 때까진 아래의 플러그인을 활성화해주는 것 뿐이다.

https://wordpress.org/plugins/disable-real-mime-check/

 

 

얼터너티브 걸즈 발렌타인 한정 가차 확률 보고서

기존에 썼던 글 데스티니 차일드 확률조작 사건 을 재활용해본 것.

결론부터 말하자면 별 소득이 없다. 일단 표본이 너무 작고… 아마 샘플을 키우면(3배 정도) 기대값으로 수렴할 것 같다.

일단 샘플 소개부터.

팔로우 중인 어느 불우한 캡틴을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해당 캡틴이 목표로 했던 발렌타인 가차 한정 시온의 고지확률은 0.5%=0.005 이다.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은 이 캡틴의 시행횟수(가차를 돌린 횟수)가 몇 번이냐 하는 것인데, 문제는 쿼츠의 구입단위에 따라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금액으로도 시행횟수가 달라진다는 점이다.

일단은 10연차= 3000엔 이라 두면 12만엔/3000엔=40, 40*10=400연차 가 된다.그래서 시행횟수를 400회라고 두고 검정을 해보도록 한다.

 

먼저 pdf부터.

이것만 봐도 벌써 망한 것 같다는 생각이 강하게 드는데, 일단 그래프의 좌측이 너무 많이 잘려서 정규분포 근사는 힘들 것 같고, X=0 일때 확률은 10%(0.1)을 넘는다.

값을 계산해봐도 N*P = 2 < 5 라서 정규분포 근사하기에는 적절치 않다는 결론만 나온다.

그래도 z검정을 해보면,

[h,ptest] = ztest(e1, mean, std,’Tail’,’left’)

h = 0
ptest = 0.0781

근사 자체가 적절치 않아서 별로 의미는 없지만 z검정에서도 고지확률이 거짓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보충1

실제로는 10연차=3000엔이 아니라 3200엔에 10연차 하고 과츠가 약간 남고(1/7 단차), 아마 쿼츠 증량 캠페인도 했던 거 같고, 12만이나 과금했으면 아무래도 3천엔 단위로 결제하진 않았을 것이므로 실제 횟수는 이보다 더 많을 것이다. 따라서 변수를 바꿔야 하는데…

결과가 변하는, 그러니까 유의확률 95% 수준에서 고지확률(0.005)이 실제와 다르다는 결과가 나오는 경계선을 구하면 대충 400+200=600회 정도였다. 이때도 여전히 정규분포 근사는 실패하지만 이 때 확률이 0.0494 로 5%보다는 작다.

일단 공식 트위터를 뒤져봤는데 증량 캠페인은 없었던 것 같고, 2295개 구입시 9800엔을 적용해서 12만엔으로 돌릴 수 있는 가차횟수를 구하면

>> 120000/9800 * 2295 /70

ans =

401.4577

….?????? 뭔가 이상해서 710개 단위로 다시 계산해보았다.

> 120000/3200 * 710 /70

ans =

380.3571

?????? 지금까지 10연=3000엔 이라고 생각해왔는데 최대 과금단위가 아니면 그보다도 더 손해를 보게 되있었다. 이럴 수가…

정확한 값을 적용하면 처음 추정보다 시행횟수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오히려 더 적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아무튼 실제 시행이 600회나 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보충2

가차 오픈 초기에 확률 1.5배 이벤트를 했었는데, 이 때 시온의 고지확률은 0.75% 였다. 만약 이 때 전부 돌렸던 것이라면 확률이 다르므로 결과가 달라지지 않았을까?

일단 저 캡틴을 5회 스페셜 가차 하기 전에 팔로했었는데 팔로 당시에는 10만이라고 써 있었으니 2만은 확실히 해당하지 않고, 나머지 10만이 문제인데 그러면 아래와 같이 된다.

P = 0.5/100 * 1.5; % P=0.75%

N = round(100000/9800 * 2295/70); % N=335

역시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는 점만 밝혀둔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매트랩 소스를 첨부한다.

alterna

얼터너티브 걸즈 PC판(AndApp) 리세마라 가이드

주의사항:

This guide is provided with no WARRANTY. Proceed at your own risk.

 

얼터너티브 걸즈 PC판의 계정은 AndApp 계정을 사용한다.

즉 PC판의 계정을 바꾸고 싶으면 AndApp 계정을 바꾸면 된다.

AndApp 계정을 삭제하려면:

AndApp 을 종료한다.

작업 관리자에서 AndApp.exe 및 AndAppHelper.exe 를 종료한다.

탐색기에 다음을 입력한다

%userprofile%\AppData\Roaming\AndApp

해당 위치에서

andapphelper_defaultuser.prefs

파일을 삭제한다. (*나중에 이 계정을 다시 사용하려면 이 파일을 백업하라.)

이후 다시 pc판을 실행하면 최초 실행시 뜨는 “이 계정을 AndApp과 연결하면~” 메시지와 함께 새 계정으로 시작하게 된다.

 

리셋 에이전트를 만들어서 더 이상 필요는 없지만 참고용으로 남겨둔다.

 

얼터너티브 걸즈 PC판 크게 보기

테마의 가로길이 제약으로 인해 full size 로 설정해도 원본 크기가 안 나오지만, 원본 크기는 984*1768.

음. 큰 화면으로 보니 전투 연출을 1x 로 놓고 봐도 그리 어색하지 않은 거 같다. 뭐 지금도 충분히 크긴 한데 기왕 하는거 풀스크린도 지원해줬으면…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은 먼저 충분한 데스크톱 크기를 확보한 후 (세로 회전 권장), 옵션의 게임 설정에서 화면 해상도를 “고”로 설정해주면 된다.

이렇게 설정하더라도 데스크톱 크기가 충분하지 않으면 창 사이즈가 화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제한되는데, 일반적인 1920*1080 가로 데스크톱에서 설정시 556*1006 이 최대가 된다.

일단 해상도를 변경하고 나면 모니터를 옮기더라도 바로 사이즈가 변하는 건 아니고, 바뀐 모니터에서 다시 해상도 설정을 해줘야 한다. “중”이나 “저”로 한번 변경했다가 다시 “고”로 바꿔주면 변경된 최대 크기가 반영된다.

 

그건 그렇고 이런 메뉴가 있는걸 보니 화면 크기가 고정인 건 아니고 설정이 가능한 거 같은데 어떻게 바꿔야 할지 모르겠다. 디버거를 통해 바꿀 수 있을 것 같긴 한데 치트 엔진을 써서 해상도처럼 보이는 값을 일시적으로 값을 바꿔도 바로 원래대로 돌아오는 것을 보니 뭔가 좀 더 복잡하게 손을 대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