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VPN을 쓰면 된다고 나오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일본 VPN을 써도 플레이 스토어 안에서는 인도로 나타나거나 미국으로 나타나는 등 플레이 스토어 내에서의 country detection 이 이상하게 나타난다.
아무튼 VPN으로 해결할 수 없을 때 플레이 스토어의 국가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국가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새 계정이거나, 혹은 국가를 설정한 뒤 1년이 지나야 한다고 한다. (https://support.google.com/googleplay/answer/7431675)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이전 국가에 지갑 잔고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 – 예를 들면 플레이 스토어에서 구입한 영화 등이 이에 해당한다)가 있지 않다면 1년이 지나지 않아도 변경되는 것으로 보인다.
- 변경하려는 국가의 결제 프로필을 만들고 기본 프로필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일본으로 변경하고 싶다고 하면 일본에서의 결제 프로필을 만들고 이를 기본 프로필로 설정한다. (https://pay.google.com/payments)
2. APKpure 나 qooapp 등을 이용해 해당 국가의 마켓에만 출시된 앱을 기기에 설치한다.
3. play store 에서 my apps & games 로 들어간다. 그리고 2. 에서 설치한 앱을 찾고 해당 항목을 클릭한다.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설치하지 않았더라도 설치된 앱이 스토어에 등록된 앱이라면 표시된다.)

4. 여기가 중요하다. 해당 앱의 페이지가 플레이 스토어에서 열린다. 여기에서 삭제 후 페이지를 떠나지 말고 삭제가 완료되면 삭제 버튼이 설치로 바뀌는데 다시 설치 버튼을 눌러서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자신의 스토어 라이브러리에 해당 앱이 추가된다.
5. 이후 플레이 스토어 앱을 종료 후 재시작하면 라이브러리에 한개 이상의 앱이 등록되어 있으므로 접속중인 ip 와 관계없이 계정의 국가 설정에 따른 스토어가 표시된다.
문제 해결
4. 에서 삭제 후 설치를 시도할 때 “해당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앱입니다” 라고 표시된다면 스토어 국가가 제대로 변경되지 않은 것이다.
해설
이 글은 플레이 스토어의 버그와 그 우회법에 대한 것이다. 계정의 국가를 변경하였으면 해당 국가의 마켓이 표시되는게 맞지만, 라이브러리에 앱이 하나도 없는 경우는 이것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ip에 기반하여 추측한 국가의 마켓을 선택한다. 이후 라이브러리에 앱이 하나 이상 있는 경우는 계정 국가에 따른 마켓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글은 이를 버그로 여기지 않는 듯하다.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주소와 자신의 ip기반 위치 추측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자신의 추측이 올바르다고 생각하는 모양.
2. 와 3. 은 사실 4. 를 들어가기 위한 단계이므로, 4. 로 연결되는 앱의 주소를 알고 있다면 2. 와 3. 은 건너뛰고 해당 주소를 열면 된다. 근데 이 주소를 (어디 저장해놓지 않았다면) 알아내기가 귀찮아서 그냥 2. -> 3. 을 거치는 게 편한 것 같다. 맞는 주소를 열어도 왠지 4. 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추가)
실제 핸드폰에서 이를 시도하면 죽어도 변경이 되질 않는데,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다.
USIM 이 꽂혀 있는 경우 usim 의 carrier 값을 참조해서 국가를 설정하는 것이 제일 우선된다고 생각되지만 그냥 안드로이드 버전(9+)에 따라 다른 것일 수도 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아무 에뮬레이터나 설치하고 위 가이드 대로 새로 설정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