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metric distribution

옛날에 이런 글을 썼던 기억은 나는데 이전 과정에서 빼먹었는지 글을 못 찾겠다. 검색했던 자료도 안 남아있고. 나름 열심히 썼었는데 그만큼 자세하게 쓰긴 힘드니까 대충 기억나는대로만 정리.

MATLAB 코드도 짰었던 것 같은데 없네…

 

출현확률이 p(=0.75%)인 가차(=[천계에서 내려온 자] 시온)을 반드시 뽑으려면 최소한 몇 번을 돌려야 할까? 이것은 가차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언제나 묻는 질문이다. 물론 매번 독립시행이므로 반드시, 즉 P(A)=1 는 유한번의 시행에서는 불가능한 것은 자명하나 현실적으로 거의 확실하다고 말할 수 있는 값을 원하는 질문이다.

통계학상으로, 대체로 확실하다고 말하는 기준은 95%이상의 확률로 옳을 때 그러하다고 말하며 이 때의 확률을 유의수준이라고 한다. (99%를 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교과서 말고는 못봤다.)  아무튼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은 이러한 기준에서 “95%이상의 확률로 뽑기 위한 횟수”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것을 어떻게 풀어야 할까? 이러한 확률변수의 분포를 구하고자 “가차확률분포” 같은 개념도 구상했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미 오래전에 연구된 확률분포로서 그 이름은 “geometric distribution” 이라 한다. 이 확률분포의 특징은 가차 문제 그대로, 확률 p인 베르누이 시행을 처음 성공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이다. pdf 는 X회에 처음 성공할 확률, cdf 는 X회 이내에 성공할 확률이 된다. 즉, X회 가차를 돌렸을 때 뽑을 확률은 geometric distribution 의 cdf 를 구하는 문제이며 위의 문제애 대한 답은 이 “cdf 가 95%를 넘는 최소의 X값” 이다.

사실 이 분포는 cdf 가 간단하기 때문에 matlab 이나 wolfram alpha 등을 이용하면 더 복잡한데 (language syntax 에 익숙하지 않다면) 그래도 이것을 활용하는 편이 응용하기에 좋으므로 wolfram alpha 를 이용해서 풀어보았다. MATLAB 은 지금 없어서 못함. p 값을 바꾸면 다른 문제에도 활용할 수 있다.

https://www.wolframalpha.com/input/?i=solve+cdf+of+geom%3D0.95,+p%3D0.75%2F100+for+x

X=397.87, cdf>0.95 이므로 398회를 하면 95%이상 확률로 뽑을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즉 그러니까 이게 얼마냐면…

[천계에서 내려온 자] 시온

10연차에 3만원이라 해서 단차에 3천원이라 하고 3천원*398회=119만4천원…? 실제론 10연차가 3만원보다 비싸서 이보다 더 비싸다.

물론 398회나 돌리진 않았고 정확히 10연차 7번, 70연차에 얻었다… 아니 반값 단차도 있었을 테니까 71회인가?

 

아무튼 이게 중요한 건 아니고, geometric 란 이름이라서 기하학(geometry)과 관련이 있나 싶었는데, 결론부터 말하면 큰 관계는 없고 geometric series 에서 온 이름인데 geometric series 는 유럽인들이 geometry 책에서 많이 나온다고 geometric seires 라고 지었댔나…? 이 부분은 저번에 검색해보긴 했는데 그때도 확실한 레퍼런스는 없었고 추측 정도였던 것 같다.

기하(geometry)는 고대로부터 측량에 많이 쓰였고 측량에는 닮음이 많이 쓰였기 때문에 비례관게는 기하학적(geometric)인 것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배경에서 원소들 사이에 비율이 일정한 등비수열은 기하학적(geometric)인 수열이라고 여겨져 geometric series 란 이름이 붙었다.

… 는 추측이 스택 오버플로우에 있던데 그럴듯한 것 같다.

 

참조

geometric distribution

NOX가 이걸 해냅니다

우정의 듀오 진절급 자동편성

이번엔 꽤 빡세서 자주 터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내 카드 풀 중에서 가장 강력한 수속임에도 불구하고 한두번 돌다가 터지곤 했다.

그나마 현재 편성은 5회 중 5회 모두 성공한 상태인데, 과연 어떨지…

8회까지 무사 성공

9회도 무사 성공. 이정도면 완성이라 봐도 되겠군.

10회 성공.

17회까지 성공. 이정도면 역대급 안정성이다.

4k티브 걸즈

그래픽카드를 바꾼 김에 섀도우플레이 및 DSR 시험을 겸해서 찍어본 4K 얼터너티브 걸즈.

1080p 해상도에서는 좋아보이지만 1:1 스케일에서는 이미지가 번져보이는데 108p에서 DSR을 사용해서 4k 로 늘렸기 때문인지 아니면 원래 게임이 1080p가 최대로 디자인되어서인지 모르겠다.

유튜브가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해상도를 결정해서 4K 해상도로 플레이되려면 ↱ 방향으로 찍어서 올리는 수 밖에 없어서 영상을 보려면 꽤 목이 아프다. 업로드를 하고 정방향으로 수정할 방법이 없는지 좀 찾아보다가 귀찮아서 비공개인 채로 두었던 것 같은데 이번에 영상을 올리면서 같이 공개했다.

실은 맹렬 로데오 특훈! 천급 오토 영상도 겸하고 있긴 하지만 해당 편성이 실패율도 높고 기억도 잘 나지 않고 해서 그냥 자동편성으로서는 그냥 쉬는 걸로.

리세마라 일기

아주르 레인 (벽람항로)

목표: 아타고, 타카오 (SSR)

확률: 불명, SSR=7%

시도횟수: 471회, 실패

드럽게 안나오네… SSR 7% 라는데 SSR 구경하기도 힘들다. 하지만 더 돌려서 타카오랑 쌍으로 나올때까지 돌려야겠다. 게임이 계정삭제를 지원한다. 인게임에서 리세마라가 가능.

하지만 결국 나오지 않았다. 타카오 자체는 한 번도 나온 적이 없고, 471회 중 아타고는 3번 출현했다. 프린스 오브 웨일즈는 그 2배 정도 출현한 듯. 훗드의 경우는 2~3번.

 

소녀전선 (한국서버)

목표: 스프링필드 스킨

확률: 불명

리세마라를 하기 위한 토큰 자체를 기본적으로 얻을 수 없어서 리세마라가 상당히 힘들었다. 230회에 출현. 최고로 희귀한 등급도 아닌데 원래 계정에서는 나오지 않아서 결국 이 계정으로 이전함.

 

아이돌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 (미리시타)

목표: 카오리 쓰알

확률: 1/6 (SSR 확정 티켓)

횟수: 30회?

원래는 가차에서도 쓰알 뽑고 티켓에서도 쓰알을 뽑고 싶었는데, 녹스에서 실행이 안 되는 관계로 아이폰에서 수동으로 하다보니 너무 힘들어서 대충 카오리 쓰알만 챙기고 그만두었다.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데레스테)

목표: 시즈쿠 한정 쓰알

확률: 0.4%

횟수: 36회

36회라니 너무 적은 것 같지만 한나절 정도 걸렸으니 맞는 것 같기도… 이 즈음에는 이미 데레스테 할 의욕은 없었지만 한정 시즈쿠 의상의 바스트 모핑이 대단하다고 해서 한번 얻어보았다. 트위터에서 비디오로 봤을 땐 굉장했는데 막상 직접 돌려보니 그다지 인상적이진 않았다.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곡의 MV를 못 뚫어서 “お願い!シンデレラ!” 같은 거 밖에 못 틀어서 그런가…

 

섀도우버스

목표: 코어 전설 카드 3장 (또는 그에 상당하는 가루)

확률: 0.09% (카드 1장, 신들의 폭풍 팩 수룡왕의 무녀 기준)

횟수: 1덱 당 30회?, 총 500회 이상?

이직업 저직업 이카드 저카드 이것저것 해보느라 리세를 꽤 오래 했다. 기록해둔 계정 수로 추정했을때 아마 500회정도는 하지 않았나 싶다. 원하는 카드가 안 나오더라도 카드를 갈아서 원하는 카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전설이나 프리미엄 카드만 많이 나오면 시작할 수 있어서 낮은 확률에도 불구하고 목표 구성을 갖추는 데에 필요한 시간은 생각보다 오래 걸리지는 않는다. 몇 시간 정도?

 

앙상블 걸즈!! (리뉴얼 버전)

목표: 레이카 쓰알

확률: 불명 (<1%?)

횟수: 50회?

기록을 남기기 전에 했던 리세마라라 정확한 기록이 없다. 쓰알 티켓을 줘서 돌리긴 했는데 문제는 쓰알 멤버조차 엄청나게 많아서 원하는 쓰알을 얻기가 좀 힘들게 되어 있었다. 아마 100개가 넘었던 것 같다.

 

얼터너티브 걸즈

목표: 해변의 비너스 시온

확률: 0.75%

횟수: 5회?

정확히는 기억이 안 나지만 리세하려고 매크로를 세팅하던 중에 나왔으니까 아마 5회 미만일 듯 하다. 감사한 마음으로 시작. 시온 짱! 시온 최고다!

원래는 시온만 보고 시작했지만 처음 멤버는 그다지 갖고싶은 게 없어서 리세마라도 안하고 하는둥 마는둥 하다가 비너스 시온을 보고 바로 리세를 해서 새로 시작. 지금도 즐겁게 하고 있다. 첫 번째 이벤트는 지나고 두 번쨰 이벤트였던 듯. 가차도 메이드 다음에 두번째였던 것 같다. (아마 메이드 가차가 스타팅 가차와 함께 오픈과 동시에 시작했던 것 같다.)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데레스테)

목표: 쓰알 1장 (아무거나)

확률: 불명 (확률 공개 전)

횟수: 100회?

리세하느라 한달 걸렸던 전설의 리세마라. 오픈 하자마자 시작해서 오픈 첫 가차와 두번째 가차를 보내고 아마 세번째 가차였던 듯하다. 이 때에는 매크로를 안 쓰고 아이폰으로 수동으로 데이터를 지워가면서 리세마라를 했기 때문에 매우 힘들었다. 그래도 이렇게 힘들게 힘들게 고생해서 나온 첫 쓰알이 아이리 한정 쓰알이어서 만족스러웠다. 3d 모델은 저 드레스가 아니라 아이돌마스터 전통의 유감스러운 의상인 게 아쉬울 따름이다.

 

브레이브 소드 블레이즈 소울 (브레브레)

목표: 레바테인=헬

확률: 불명

횟수: 30회?

특이하게도 인게임에서 리세마라를 공식 지원한다. 메뉴에서 초기화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튜토리얼 첫 화면까지 넘어감. 아주르 레인도 비슷한 기능이 있지만 이 기능은 정말로 리세마라를 위한 기능으로 게임 시작 후 스토리를 진행하거나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조작을 하고 나면 해당 버튼은 메뉴에서 사라지게 된다.

원래 레반테인을 보고 게임을 시작했고 리세해서 레반테인을 들고 시작했었는데, 아마 이때는 20번 정도 했었던 것 같다. 실은 이 때에는 레바테인=헬이라는 마검이 있는 줄도 몰랐었다. 그런데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마왕제라는 확률 업 이벤트를 하고 심지어 헬이라는 강화판 버전이 있는 것을 알게 되면서 다시 리세를 해서 이번에는 헬을 들고 시작했다. 아마 서너시간 했으니 30번 정도 한 듯하다. 리세마라를 공식 지원해서 다른 게임과는 달리 한번 리셋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서 빨리 끝났다.

 

how to remove ad in nox loading screen

ads

%localappdata%\nox\loading\ads 파일의 내용을 지우고 읽기 전용으로 지정한다.

%localappdata%\nox\loading\ 폴더 안의 파일을 모두 지우고. 권한에서 Everyone의 “파일 만들기” 권한을 거부로 지정한다.

또는, 그냥 Everyone의 수정 권한을 거부해도 되는데 이렇게 하면 탐색기로 폴더를 열 때 권한이 없다고 뜬다. 근데 어차피 nox 에서 광고 띄우지 않는 이상 열 일이 없는 폴더인데 오히려 이게 편하고 나은 것 같기도.


2017-11-21 update: variable name 이 잘못되어 고침. (%appdatalocal% -> %localappdata%)


2018-01-31 : ads 에 전부 embed 하는 형태에서 이를 쓰지 않고 다수의 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광고가 변경됨.  Nox 를 업데이트 하지 않았는데도 변경된 것을 보면 뭔가 이상하긴 한데 일단 광고는 안 나오니까 이대로 놔두기로.

사라진 복음서 진절급 자동편성 2

노노를 스킬마 했더니 타이밍이 달라져서 자꾸 실패하길래 다시 만든 편성. 이렇게 하니 대강 처음 편성과 비슷하게 보스 웨이브에서 시온 3스킬 쿨이 돌아오는 듯하다.

이 편성은 씰이 상당히 중요한데 츠무기 속도를 높여버리면 또 타이밍이 어긋나서 역시 실패한다.

근데 서포트 편성 다른데로 좀 옮길 수 없나… 아 가능하구나

한 7번째 돈 것 같은데 아직 실패가 없다. 잘 도네…

4번 더 돌았는데 아직 실패는 없다.

총 12트 쯤 한것 같은데 너무 잘 돌아서 다시 찍어보았다.

사라진 복음서 진절급 오토 편성

시온 메이드복 사주려고 돌렸더니 렘 노노가 나와서 만들어본 것. 처음에는 스킬마한 치노 츠무기를 넣어봤는데 무기 약점이 아니라서 빼버렸다.

무기약점 멤버 중에서 고르다 보니 스킬마 된 멤버가 홋케랑 레이 뿐이어서 넣었는데 홋케는 지난 이벤트 멤버보다 전체공격 2개에 힐러형인 “be my power” 홋케가 더 나은 것 같다.

서브멤버는 공격력, 무기약점 위주로 넣되 적 공격력이 세므로 시온의 경우는 방어력 위주로. 씰은 시온만 속도 우선으로 하고 나머지는 스탯 우선으로 했다.

힐러가 3명이다 보니 적의 공격력이 세지만 그 이상으로 회복하여 압도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번에 그래픽카드를 nvidia 그래픽카드로 바꾼 김에 shadowplay 를 시험해볼 겸 찍어보았다. play.tv(raptr) 나 overwolf 같은 거 쓸 때와는 차원이 다르게 잘 찍힌다. 설정도 훨신 편하고. 다음에도 nvidia 로 사야겠다.

 

3트째(?) : 노노를 스킬마 했더니 오히려 더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다. 1, 2 웨이브를 너무 빨리 지나가버려서 시온 3스킬 쿨이 안 돌아와서 그런가… 역시 잘 돌아갈때는 비가역적인 변화를 주지 말아야겠다. 음… 서브멤버나 씰 변경으로 어떻게 해결이 안되려나…

 

메야 습격 ~베루루의 여름축제~ 보스 분석

이번 메야 습격 이벤트의 보스인 후우비. 이 녀석은 종전 이벤트 보스와 다르게 큰 특징이 2개 있다. (이벤트 이름에 맞지 않게 보스로 나왔다는 점은 빼고)

1. 카운트다운 스킬(카운트다운이 0가 되었을 때 쓰는 스킬)이 상황에 따라 변한다.

지난 이벤트까지의 보스는 카운트가 0가 됐을 때 쓰는 스킬이 정해져 있었다. 카운트다운 스킬이 복수인 경우는 있었지만 이 경우 항상 쓰는 순서가 정해져 있고 상황에 따라 변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번 이벤트의 경우

수동으로 확인해본 결과 카운트다운 스킬이 복수이고 정해진 순서대로 쓰는 것으로 확인됐다. 방업->방업->맹독 순으로 쓰는데 오토로 돌리다 보면 항상 2번째 방업에 해제를 쓰고 3번째 카운트다운에 맹독이 들어오니 이런 착각을 한 듯 하다.

2. 카운트가 1이 되기 전까지는 카운트다운이 표시되지 않는다.

다행히 카운트다운 스킬이 버프라서 카운트다운이 표시되지 않아도 카운트다운을 알 수 있는데, 카운트다운+1=버프 지속시간 이다. 즉 방업이 풀리는 턴에 다시 카운트다운 스킬을 쓴다. 버프를 해제를 한다고 해서 스킬을 쓰는 타이밍이 빨라지거나 하는 것은 아니고 항상 정해진 차례에 스킬을 쓴다.

 

쓰고 보니 버추얼타워 등에서도 이런 식으로 카운트다운이 표시되지 않는 적이 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 당시에는 카운트다운 패턴이 아닌 것으로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하니 이번 경우와 같이 카운트다운은 들어갔는데 단지 표시만 안 되고 있었을 뿐이 아닌가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