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 에서 저장소 사용량이 실제보다 부풀려지는 문제

오늘 azure 포탈에서 사용량 조회를 해 봤더니 이렇게 나왔다.

근데 이미지가 좀 있다곤 하지만 벌써 600메가 가까이 쓰고 있지는 않을 것 같아서 콘솔에서 웹 사이트가 얼마나 용량을 사용하고 있는지 조회해 보았다.

조회한 결과 약 400메가 정도 된다.

wwwroot 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git 의 레포지토리 용량이나 로그 파일 등인데 특별히 큰 파일도 찾을 수 없는데 200메가 가까이 차지한다는 건 이상하다. 아직이야 사용량 제한에 근접하지 않아서 대충 살만하지만 음… 모자라게 되면 수동 설치를 해서 사용량을 체크해보고 셀프 호스팅 서버로 옮기던지 아니면 지역을 옮기던지 해야겠다.

azure 관리에 필요한 부분까지 사용량에 포함시키는 게 말이 되나…


원인을 알아냈다. in-app MySQL 의 스토리지가 나머지 200MB 가까이를 쓰고 있었다. export 로 추출하면 1.6MB 밖에 되지 않지만 스토리지 상에서 점유하는 공간은 230MB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너무 낭비가 많은데 mysql 은 sqlite 나 SQL Server CE 같은 게 없나…

azure 에서의 wordpress 설치에 관한 이야기

대충 wordpress.com 에서 azure web app 으로 옮겨온지 한달 정도 되는 것 같다.

wordpress.com 에서 옮겨온 이유는

  1. .com 특유의 괴상한 에디터 (느리고 기능은 부족한)
  2. 카테고리 대량 편집이 안됨

때문이었다.

그래서 옮겼는데… 두 가지 정도 문제가 있다.

  1. 한글 파일 업로드가 안된다.
    가급적이면 한글로 된 파일도 영어로(ascii)로 바꿔서 올리기 마당에 크게 문제인가 싶기도 하지만 역시 캡처 도구로 저장한 파일을 올렸다가 깨진 미디어 파일만 생겨서 삭제하고 다시 이름을 바꿔서 올려야 하는건 생각외로 짜증나는 일이다.
  2. 초기 로딩이 오래 걸린다.
    처음엔 azure web app 이 다 이런 줄 알았는데 리버스 프록시 등은 이렇게 오래 안 걸리는 걸 보니 이건 아마 in-app mysql 의 로딩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 후술하겠지만 로딩이 완료되고 난 후의 성능은 가장 좋고 web app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 설정 등이 따로 필요 없다는 점도 좋은데 역시 초기 로딩이 너무 오래 걸린다. 한 10초 걸리는 줄 알았더니 재 보니까 30초나 걸리더라..

1. 같은 경우는 플러그인으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사실 굳이 고쳐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지만 2. 같은 경우는 아무래도 어떻게 좀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 싶어서 다시 옮길 생각을 하고 여러 조합을 검토해보았다.

일단 셀프 호스팅은 보류. 이미 한번 시도해봤다가 관리 안하고 그냥 폐기된 적이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같은 꼴을 볼 것이 뻔하므로 패스하기로 했다.

 

첫 번째 대상은 azure 에서 기존부터 서비스하던 cleardb. 처음에는 관리 콘솔에 접속하는데 가입을 요구하기에 그냥 지나쳤는데 이전을 검토하면서 속도를 검토해보니 in-app mysql 보다 훨씬 느려서 안 쓰기로 했다. 성능 분석을 해보니 in-app 의 경우는 2-3 초 걸리는데 이건 7초 이상 걸려서 안 쓰기로.

두 번째 대상은 project nami. wordpress 를 mysql 대신 mssql 과 함께 쓸 수 있도록 하는 포팅 버전이다. 일단 배포 자체가 오류가 많아서 설치하는 데 엄청나게 고생했는데… 결과적으로 encoding 문제가 심해서 그만두기로 했다. ProjectNami.UTF8 옵션을 써도 실제로 utf8 로 작동하는게 아니라 sql server의 인코딩으로 변환해서 쓰는 것 같다. 내가 테스트했던 경우 Korean_Wansung_CI_AS 을 썼었는데 ー와 같은 장음 표시가 ?와 같이 표시되는 등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겪는 인코딩 문제를 그대로 겪고 있었다.

 

그래서 아무튼 현재는 현상 유지로 방침을 굳혔는데… 음… 그래도 초기 로딩 문제는 어떻게 좀 하고 싶은데 말이지.


2017-03-14 update:

hello cloud 2017 2nd challange 가 in-app mysql 을 사용하는 예제인 거 같은데 이거 업데이트하면서 초기 기동시 30초 걸리는 문제를 해결한 듯. 현재는 이러한 문제가 없다. 덕분에 난 아무것도 하지 않았지만 문제가 해결됐다.


2017-03-15 update:

현재 다시 로딩하는 데에 30초 정도 걸린다. 나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