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스토어에서 지역 제한된 앱(아즈렌)의 인앱결제 가이드

플레이 스토어에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은 2가지다.

  1. 해당 계정이 결제하려는 앱을 소유하고 있다.
    플레이 스토어에서 해당 앱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되지 않은 앱” 에 노출되어야 한다. 혹은 웹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https://play.google.com/apps
  2. 결제하려는 앱을 플레이 스토어에서 설치했다.
    업데이트는 상관 없지만 최초 설치는 플레이 스토어에서 해야 한다.

이 조건은 충분조건이어서 모두 만족하지 않아도 결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쓰면 추상적이니 구체적인 가이드로 알아보자.

  1. 새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VM 을 만든다.
    기존에 쓰던 에뮬레이터가 있다면 새 VM 을 만들고 없다면 아무거나 설치하자. 추천은 Bluestacks.
  2. VPN 을 설정할 국가로 연결한다. *1
  3. 설정을 열고 위치 설정을 끈다.
  4. 새 구글 계정을 만든다.
  5. 계정 설정에서 생성한 계정의 언어를 사용하려는 국가의 것으로 변경한다. *2
  6. 에뮬레이터에서 로그인한다.
  7. 결제하려는 앱을 플레이 스토어에서 연다.
    플레이 스토어에서 검색하는 것보다는 링크를 쓰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아즈렌의 경우는 market://details?id=com.YoStarJP.AzurLane 이다. 이러한 링크는 보통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할 수 있다.
  8. google pay 페이지를 열고 결제 수단을 추가한다. 이 때, 결제 주소는 해당 앱의 지역(국가)나 미국으로 선택한다.
    현재 페이지 주소는 https://pay.google.com/gp/w/u/0/home/paymentmethods 이지만 자주 바뀐다.
  9. 이제 앱을 실행하고 결제를 시도한다. 계정 비밀번호를 물어보는 팝업이 뜨면 성공이다.
  10. 만일 여전히 “이 아이템은 해당 국가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메시지가 표시된다면, 플레이 스토어 앱을 열
    1. 설정-일반-계정 및 기기 환경설정으로 들어간다.
    2. 국가 및 프로필에서 “일본(대상 국가) 스토어로 변경하기” 등의 버튼이 표시되는지 확인하고 표시되면 클릭한다.
    3. 스토어 국가를 변경하면 스토어 앱이 재시작된다. 재시작 후 다시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앱이 인식하는 국가와 스토어 국가가 일치하므로) 스토어 변경하기 버튼이 사라진다.

*1: VPN 은 새 계정의 경우는 여전히 필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기존 계정이나 혹은 실수로 스토어 국가 설정이 되어버린 경우는 스토어 국가 변경이 필요하므로 연결이 필요할 것 같다.

*2: 역시 불필요한 단계인 것 같은데 검증은 하지 않았으므로 남겨둔다.

참고:

  • 기존 계정이 다른 국가에서 결제한 내역이 없거나 유료 컨텐츠(영화 등)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면 사용할 수 있다.
  • 기존 VM의 경우 로그인되어 있는 Google 계정을 로그아웃하고 기존 앱을 지우면 사용할 수 있다.
  • 결제 주소는 Google Play 의 경우 지역제한에는 영향이 없는 것 같고, 대신 세금(특히 VAT)에 영향을 끼친다. 이젠 영향이 없는 듯. 미국으로 해도 동일한 가격이 청구된다. Play point 도 적립되는 것으로 보아 사용자의 국가가 아니라 앱이 등록된 마켓 기준으로 세금이 정해지는 듯하다.
  • 에뮬레이터가 아닌 실제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앱 설치 단계에서 “사용자의 지역에서 앱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실패한다. 아무래도 SIM 이 있는 경우 SIM 의 carrier 에 기반한 지역제한이 적용되는 것 같다. 그렇다면 SIM이 없는 공기계는 어떨까 싶은데 확인해보지는 않았다. SIM 문제가 아니고 설정에서 “위치” 를 켰는지 여부이었던 듯하다. 이전 에뮬레이터는 초기 설정에서 위치 권한을 설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껐는데 요즘 버전은 이것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있어서 에뮬레이터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생했던 것 같다.

2022-05-31

변경사항:

  • 에뮬레이터에서도 변경이 안 되는 원인 파악(위치 설정)
  • 스토어 국가 변경내용 추가.

데이터 삭제를 해도 리세마라가 안될 때

아마 referal ID 으로 식별을 하는 것 같다. 따라서 구글 설정에서 광고 ID 재설정(reset) 을 하면 리셋이 된다.

그러므로 관련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면 막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어떻게 막아야 할 지 잘 모르겠다…

참고: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llusionconnect&no=8576

 

[얼터너 견습] 베루루 재능개화 그룹

해후 퀘스트는 엄두가 안 나서 한동안 미뤄두고 있었는데, 성역 미션을 클리어하면서 [학원의 여제] 레이를 재능개화한 김에 미뤄뒀던 해후 퀘스트를 시도해보았다.

익스트림이라 그런지 진천급은 자동은 불가능하고 수동으로 돌려야 겨우 깰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깨달은 해후 퀘스트의 기본적인 전략은 아래와 같다.

  1. 팀1을 보스를 클리어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편성으로 짜고, 팀2는 보스를 출현 전까지 잡몹을 처리하는 편성으로 짠다.
    가능한 기력을 유지한 상태로 팀1로 보스에게 도전하는게 공략의 핵심이다. 팀2가 쓰러지던지 보스가 등장할때까지 팀2로만 싸우고 회복 아이템도 쓰지 않는다.
  2. 가능하면 부활이 있는 힐러를 팀마다 넣는다.
    헤스티아 시온 이후로 한동안 부활이 사장됐었는데, 성역에서는 부활이 필수인 것 같다. 성역에서 크리스탈 어택 잘못 맞으면 픽픽 쓰러지는게 게임 시작 초기를 떠오르게 한다. 고민하다 레이 스킬을 부활도 다시 변경했는데 확실한 효과를 보았다.
  3. 그룹 스킬을 가진 멤버를 넣는다.
    성역의 경우 그룹 스킬이 없으면 크리스탈 어택에 버틸 수가 없기 때문에 그룹 스킬을 가진 멤버는 필수이다. 그룹 스킬을 가진 멤버는 보통 이전의 해후 퀘스트에서 개화하는데, 성능이 평이한 경우가 많으므로 보통 2팀에 넣게 된다.
  4. 전투를 끝내기 전에 최대한 스킬 쿨타임을 초기화한다.
    서비스 초기에는 속업 버프가 제한적이었고 쿨타임이 길었기 때문에 웨이브를 넘어가기 전에 가능한 쿨타임 초기화 시간을 버는 플레이가 주된 전략이었다. 그러다 역시 헤스티아 시온 이후로 전체 멤버에 공속업(대) 가 보편화되면서 스킬을 적극적으로 쓰는 추세가 되었는데, 성역에서는 한번 전투가 끝나면 다음 전투로 버프가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속업에 의한 쿨 단축 효과가 크게 감소되었다. 다시 다음 전투로 넘어가기 전에 쿨타임을 최대한 초기화하는 전략이 필요해졌다.

이상의 기준으로 베루루 재능개화 그룹을 짜보았다.

팀1

부활+힐러: [학원의 여제] 레이

딜러: [지극의 애의] 치호

방어력 감소: [입자국에 담은 마음] 나오미

강화 해제: [성야의 반짝임] 시온

힐러/딜러 포지션은 성역에서 무조건 1명 이상 필요하고, 나머지를 적절하게 조절하는데 베루루의 경우 보스가 방어력 상승 버프를 사용하므로 이것을 해제하기 위해 강화 해제 멤버를 넣는다. 나머지는 딜러를 넣어도 되고 서포터를 넣어도 된다.

팀2

탱커+힐러: [천월전의] 미유키

그룹 스킬: 코하루

딜러: [주문은 토끼입니까??] 츠무기

서포터: 마치

1팀을 구성하고 남은 멤버로 구성한 팀이다. 특이사항으로는 그룹 스킬을 제공하는 코하루의 경우는 유리 속성이 아니므로 참씰을 회피 우선으로 설정해주어야 한다.

츠무기의 경우는 갓 시리즈의 치호에 밀려서 잘 못 쓰고 있는데, 자체 속업(대)가 있고 모든 스킬의 쿨이 짧기 때문에 성역에서도 스킬을 마구 쓸 수 있어서 오히려 2팀에서 빛나는 것 같다.

 

구글 플레이 새 계정 국가 스토어 설정하기

보통 VPN을 쓰면 된다고 나오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일본 VPN을 써도 플레이 스토어 안에서는 인도로 나타나거나 미국으로 나타나는 등 플레이 스토어 내에서의 country detection 이 이상하게 나타난다.

 

아무튼 VPN으로 해결할 수 없을 때 플레이 스토어의 국가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국가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새 계정이거나, 혹은 국가를 설정한 뒤 1년이 지나야 한다고 한다. (https://support.google.com/googleplay/answer/7431675)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이전 국가에 지갑 잔고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 – 예를 들면 플레이 스토어에서 구입한 영화 등이 이에 해당한다)가 있지 않다면 1년이 지나지 않아도 변경되는 것으로 보인다.

 

  1. 변경하려는 국가의 결제 프로필을 만들고 기본 프로필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일본으로 변경하고 싶다고 하면 일본에서의 결제 프로필을 만들고 이를 기본 프로필로 설정한다. (https://pay.google.com/payments)

2. APKpure 나 qooapp 등을 이용해 해당 국가의 마켓에만 출시된 앱을 기기에 설치한다.

3. play store 에서 my apps & games 로 들어간다. 그리고 2. 에서 설치한 앱을 찾고 해당 항목을 클릭한다.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설치하지 않았더라도 설치된 앱이 스토어에 등록된 앱이라면 표시된다.)

play store 의 my app 목록

4. 여기가 중요하다. 해당 앱의 페이지가 플레이 스토어에서 열린다. 여기에서 삭제 후 페이지를 떠나지 말고 삭제가 완료되면 삭제 버튼이 설치로 바뀌는데 다시 설치 버튼을 눌러서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자신의 스토어 라이브러리에 해당 앱이 추가된다.

5. 이후 플레이 스토어 앱을 종료 후 재시작하면 라이브러리에 한개 이상의 앱이 등록되어 있으므로 접속중인 ip 와 관계없이 계정의 국가 설정에 따른 스토어가 표시된다.

 

문제 해결

4. 에서 삭제 후 설치를 시도할 때 “해당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앱입니다” 라고 표시된다면 스토어 국가가 제대로 변경되지 않은 것이다.

 

해설

이 글은 플레이 스토어의 버그와 그 우회법에 대한 것이다. 계정의 국가를 변경하였으면 해당 국가의 마켓이 표시되는게 맞지만, 라이브러리에 앱이 하나도 없는 경우는 이것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ip에 기반하여 추측한 국가의 마켓을 선택한다. 이후 라이브러리에 앱이 하나 이상 있는 경우는 계정 국가에 따른 마켓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글은 이를 버그로 여기지 않는 듯하다.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주소와 자신의 ip기반 위치 추측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자신의 추측이 올바르다고 생각하는 모양.

2. 와 3. 은 사실 4. 를 들어가기 위한 단계이므로, 4. 로 연결되는 앱의 주소를 알고 있다면 2. 와 3. 은 건너뛰고 해당 주소를 열면 된다. 근데 이 주소를 (어디 저장해놓지 않았다면) 알아내기가 귀찮아서 그냥 2. -> 3. 을 거치는 게 편한 것 같다. 맞는 주소를 열어도 왠지 4. 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추가)

실제 핸드폰에서 이를 시도하면 죽어도 변경이 되질 않는데,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다.

USIM 이 꽂혀 있는 경우 usim 의 carrier 값을 참조해서 국가를 설정하는 것이 제일 우선된다고 생각되지만 그냥 안드로이드 버전(9+)에 따라 다른 것일 수도 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아무 에뮬레이터나 설치하고 위 가이드 대로 새로 설정하는 것이다.

소니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1000-xm2

짧은 메모:

블루투스로 연결했을 때, 전원을 끄고 오디오 잭으로 연결했을 때, 전원을 켜고 오디오 잭으로 연결했을 때 3가지 경우가 존재하고 각각 소리가 다르다.

짧은 감상으로는 전원을 켜고 오디오 잭으로 연결했을 때 소리가 가장 나은듯 하다.

근데 보컬 쪽으로는 재현율이 안 좋은 것 같은데 폐쇄형을 오랜만에 써서 적응이 안되서인 것 같기도 하고 잘 모르겠다.

프린세스 커넥트 리다이브 리세마라 정리

먼저 게임 앱이 루팅된 기기에서 실행되지 않으므로 게임의 루트 디텍션을 우회할 필요가 있다.

How To Bypass Apps Root Detection In Android

그리고 인게임 지역락이 걸려있으므로 일본을 지원하는 VPN을 설정해야 한다.

이후에는 다른 게임과 마찬가지로 리세마라 시작.

프리코네 고속리세방법

계정 파일은 jp.co.cygames.princessconnectredive.v2.playerprefs.xml  이며

로그인 정보는 <string name=”MHx5cg==”> 랑 <string name=”M3F1YSNkOnF0″>로 보임.

 

요약.

  1. install xposed framework
  2. install rootcloak
  3. enable rootcloak in xposed framework
  4. add app “Princess connect” to rootcloak app list.
  5. turn on vpn
  6. do tutorial and gacha
  7. remove two lines <string name=”MHx5cg==”> , <string name=”M3F1YSNkOnF0″> in jp.co.cygames.princessconnectredive.v2.playerprefs.xml  file (it tis in /data/data/jp.co.cygames.princessconnectredive)
  8. loop from 6

 

 

4k티브 걸즈

그래픽카드를 바꾼 김에 섀도우플레이 및 DSR 시험을 겸해서 찍어본 4K 얼터너티브 걸즈.

1080p 해상도에서는 좋아보이지만 1:1 스케일에서는 이미지가 번져보이는데 108p에서 DSR을 사용해서 4k 로 늘렸기 때문인지 아니면 원래 게임이 1080p가 최대로 디자인되어서인지 모르겠다.

유튜브가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해상도를 결정해서 4K 해상도로 플레이되려면 ↱ 방향으로 찍어서 올리는 수 밖에 없어서 영상을 보려면 꽤 목이 아프다. 업로드를 하고 정방향으로 수정할 방법이 없는지 좀 찾아보다가 귀찮아서 비공개인 채로 두었던 것 같은데 이번에 영상을 올리면서 같이 공개했다.

실은 맹렬 로데오 특훈! 천급 오토 영상도 겸하고 있긴 하지만 해당 편성이 실패율도 높고 기억도 잘 나지 않고 해서 그냥 자동편성으로서는 그냥 쉬는 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