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 wordpress.com 에서 azure web app 으로 옮겨온지 한달 정도 되는 것 같다.
wordpress.com 에서 옮겨온 이유는
- .com 특유의 괴상한 에디터 (느리고 기능은 부족한)
- 카테고리 대량 편집이 안됨
때문이었다.
그래서 옮겼는데… 두 가지 정도 문제가 있다.
- 한글 파일 업로드가 안된다.
가급적이면 한글로 된 파일도 영어로(ascii)로 바꿔서 올리기 마당에 크게 문제인가 싶기도 하지만 역시 캡처 도구로 저장한 파일을 올렸다가 깨진 미디어 파일만 생겨서 삭제하고 다시 이름을 바꿔서 올려야 하는건 생각외로 짜증나는 일이다.
- 초기 로딩이 오래 걸린다.
처음엔 azure web app 이 다 이런 줄 알았는데 리버스 프록시 등은 이렇게 오래 안 걸리는 걸 보니 이건 아마 in-app mysql 의 로딩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 후술하겠지만 로딩이 완료되고 난 후의 성능은 가장 좋고 web app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 설정 등이 따로 필요 없다는 점도 좋은데 역시 초기 로딩이 너무 오래 걸린다. 한 10초 걸리는 줄 알았더니 재 보니까 30초나 걸리더라..
1. 같은 경우는 플러그인으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사실 굳이 고쳐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지만 2. 같은 경우는 아무래도 어떻게 좀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 싶어서 다시 옮길 생각을 하고 여러 조합을 검토해보았다.
일단 셀프 호스팅은 보류. 이미 한번 시도해봤다가 관리 안하고 그냥 폐기된 적이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같은 꼴을 볼 것이 뻔하므로 패스하기로 했다.
첫 번째 대상은 azure 에서 기존부터 서비스하던 cleardb. 처음에는 관리 콘솔에 접속하는데 가입을 요구하기에 그냥 지나쳤는데 이전을 검토하면서 속도를 검토해보니 in-app mysql 보다 훨씬 느려서 안 쓰기로 했다. 성능 분석을 해보니 in-app 의 경우는 2-3 초 걸리는데 이건 7초 이상 걸려서 안 쓰기로.
두 번째 대상은 project nami. wordpress 를 mysql 대신 mssql 과 함께 쓸 수 있도록 하는 포팅 버전이다. 일단 배포 자체가 오류가 많아서 설치하는 데 엄청나게 고생했는데… 결과적으로 encoding 문제가 심해서 그만두기로 했다. ProjectNami.UTF8 옵션을 써도 실제로 utf8 로 작동하는게 아니라 sql server의 인코딩으로 변환해서 쓰는 것 같다. 내가 테스트했던 경우 Korean_Wansung_CI_AS 을 썼었는데 ー와 같은 장음 표시가 ?와 같이 표시되는 등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겪는 인코딩 문제를 그대로 겪고 있었다.
그래서 아무튼 현재는 현상 유지로 방침을 굳혔는데… 음… 그래도 초기 로딩 문제는 어떻게 좀 하고 싶은데 말이지.
2017-03-14 update:
hello cloud 2017 2nd challange 가 in-app mysql 을 사용하는 예제인 거 같은데 이거 업데이트하면서 초기 기동시 30초 걸리는 문제를 해결한 듯. 현재는 이러한 문제가 없다. 덕분에 난 아무것도 하지 않았지만 문제가 해결됐다.
2017-03-15 update:
현재 다시 로딩하는 데에 30초 정도 걸린다. 나 참…